적정 노출 맞추기
측광의 종류
- 스팟 측광(부분 측광)
- 평가 측광
- 중앙부 평균 측광
측광
노출을 측정해 주는 의미
스팟 측광
단일 포인트에 대해 노출광을 확인하는 것
평가 측광
AF 포인트에서 조금 더 큰 범위를 측정
중앙부 평균 측광
AF포인트가 몰려있는 측광을 확인함
전체를 확인하기 때문에 셔터스피드가 조금 더 올라간다고 생각하기
빛이 들어오는 부분과 인물의 평균치를 계산
노출 잡는 방법
노출계 확인하기
하단에 -2 ...-1...0...1...+1 등등
바가 이동함
-2가 되었다
-> 셔터스피드를 풀자 / 조리개를 풀자
=> 수치를 조정하는 것
LCD로 확인하기
완벽한건 아님..
LCD로는 완벽했지만 실제상태는 아닐수도 있다
꼭 실제를 확인하자
픽쳐스타일 RAW 파일
JPG와 RAW의 차이
JPG : 100가지의 색상을 촬영 소스에 저장
RAW : 1,000,000가지의 색상을 촬영 소스에 저장
=> 명부와 암부를 살릴 수 있는 보정 폭
=> 색상을 디테일하게 살릴 수 있는 보정폭이 크다
RAW파일이 JPG파일보다 후반 작업 용이
영상의 경우도 RAW파일로 촬영 가능
PP1/PP2 사용
픽쳐스타일
사진에서는 픽쳐스타일 또는 픽쳐컨트롤
영상에서는 픽쳐 프로파일
픽쳐스타일의 기본세팅
보통 화이트밸런스와 같이 있다
카메라에서 인위적으로 색감을 부여하는 것
카메라 제조사 별로 다양한 색감 프로파일이 존재
후반작업으로도 잡을 수 있음
색감잡기 편하게 해 주는 것
영상 기준 픽쳐 프로파일
1. 검은색 레벨(블랙레벨 / 소니 미러리스 카메라 기준)
검은색 레벨은 -15에서 +15까지 존재하며 기본값은 0
사진과 영상에서 블랙은 어두운 영역, 즉 암부를 의미
블랙레벨을 올리면 암부가 밝아짐, 즉 콘트라스트가 낮아짐
2. 감마
Movie/Still 등등..
사람의 눈이 빛을 비선형적으로 받아들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작
사람은 밝은 부분보다 어두운 부분의 디테일을 좀 더 명확하게 구분
명부와 암부를 같은 비중으로 기록 시
명부에서는 괜찮지만 암부는 계조가 깨지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다수
색심도를 13비트까지 올린다면 해결가능 -> 영상소스가 무거워짐
사람은 암부를 잘 보고 명부를 잘 보지 못하기 때문에
정보를 기록할 때 명부보다 암부를 더 많이 기록
감마 교정을 사용할 경우 8비트 만으로도 암부를 깔끔하게 표현
DR 즉 다이나믹레인지(명암의 범위)를 높이기 위해
ITU와 SLOG2를 생성 후 강제적으로 다이나믹레인지를 올려도
사진만큼의 명부나 암부관용도를 기대하기는 힘듦
3. 검은색 감마(블랙감마)
범위 : 넓게 / 중간 / 좁게
레벨 : -7 ~ +7
검은색 레벨과 비슷하지만 보정 폭이 조금 작은 대신 범위 조절 가능
밝기 수준 0~100까지 존재 시
넓게는 0
30까지
중간은 0
20까지
좁게는 0~10까지 암부를 조절
4. 채도(세츄레이션)
색의 진하기(컬러모드와 혼동X)
영상 제작/편집 올인원 패키지 Online.
영상 제작/편집 올인원 패키지 Online. | 패스트캠퍼스
성인 교육 서비스 기업, 패스트캠퍼스는 개인과 조직의 실질적인 '업(業)'의 성장을 돕고자 모든 종류의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No. 1 교육 서비스 회사입니다.
www.fastcampus.co.kr
'자잘한 팁 > 영상편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월 22일 - 촬영기법 장비/사진편 - 9/10 [영상편집 인강] (0) | 2020.08.22 |
---|---|
8월 21일 - 촬영 기법/장비 - 사진편 - 7/8 [영상편집 인강] (0) | 2020.08.21 |
8월 19일 - 촬영 기법/장비 - 사진편 - 3/4 [영상편집 인강] (0) | 2020.08.19 |
8월 18일 - 촬영 기법/장비 - 사진편 - 1/2 [영상편집 인강] (0) | 2020.08.18 |
8월 17일 - 영상제작 정보 및 이론 - 9/10 [영상편집 인강] (0) | 2020.08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