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troduction
크리에이터분들의 노하우에서부터
촬영 장비의 설명과 사용법, 그리고 클립을 편집하는 것 또한 그것을 업로드하는것까지..
첫번째
- 영상을 만들 때 꼭 알아야 하는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와 개념 익히기
두번째
- 영상의 제작 과정
세번째
- 영상 제작 시 알면 유용한 정보 소개
네번째
- 영상 제작에 필요한 소스를 얻는 방법
다섯번째
- 패키지에 포함되어있는 프리셋과 BGM 사용에 대한 설명
픽셀과 해상도
이미지를 확대하여 보았을 때
그림에 경계선들이 연속된 곡선이 아닌 무수히 많은 사각형들로 이루어져있다
Pixel (픽셀) Picture (그림) + Element (원소)
=
화소 (디스플레이 화면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)
픽셀 수가 많을 수록 더 정교하게 표현이 가능하
해상도 = 픽셀의 수
가로 픽셀 개수 X 세로 픽셀 개수 = 해상도
해상도 규격
ex) 1920 X 1080 = 1K
영상을 만들 때 자주 만드는 규격이 존재한다
영상을 만들 때 무조건 큰 사이즈로 만드는 것이 좋은 것인가?
- 더 선명할 수록 높은 해상도 필요
- But, 해상도를 높이면 화질은 좋지만 픽셀 수가 많아지고 데이터와 저장 공간이 증가한다
- 작업속도 또한 4K 이상부터는 고사양 컴퓨터가 필요하다
- 적절한 해상도를 선택하여 작업하는게 좋다
해상도를 크게 만들어도 좋은 화질로 보는 것은 아니다?
- 유튜브 설정에 보면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음
아직까지 인터넷 시장은 1920 X 1080 사이즈가 가장 많이 보편적
컴퓨터 환경이 좋지 못할 경우엔 조금 더 낮은 비율로 작업
많은 기업에서는 4K 영상을 사용하기 시작하고 있으며 8K 영상 제작도 힘쓰는 추세
화면 비율
아주 기본적인 비율 => 16:9
비율 계산
가로와 세로의 픽셀 비율을 본다
왜 이런 비율이 생겼을까?
1863년 키네코스코프 - 필름을 사용하던 시절 원통을 사용하는 대신 주변에 네모 홈을 놓았다
=> 4:3 비율 (Full Frame)
1950년대 티비 => 역시 4:3
아나몰픽 렌즈 => 2.35:1 (와이드스크린)
TV와 영화가 발전함에 따라 HD비율을 정하게 되면서 16:9을 만들게 되었다
DVD,HDTV,UHD 등 와이드스크린의 표준규격이 되었다
요즘은 다양한 비율이 생성되고 있다
화면 크기 & 화질
화면크기와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자
다른 해상도의 사진 비교 => 확대 할 수록 낮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사진은 깨지게 된다 =>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을수록 화질이 좋다
다른 크기의 티비에 같은 사이즈의 사진 띄우기 => 큰 화면이 흐릿할 수 있다 => PPI가 낮다
PPI (Pixel Per Inch)
1인치 안에 들어가는 픽셀의 갯수
무조건 큰 크기 + 높은 해상도? => 돈이 많이 든다
현재 방송되는 영상들이 거의 Full HD정도로 나오기 때문에
디스플레이의 지원 해상도보다 낮다면 별로일 것이다
영상과 디스플레이의 비율
화질
컬러 밸런스, 색 재현성, 콘트라스트, 선예도, 보여줄 정보량 등
다양한 요소를 종합한 총체적인 품질을 일컫음
영상 제작/편집 올인원 패키지 Online.
영상 제작/편집 올인원 패키지 Online. | 패스트캠퍼스
성인 교육 서비스 기업, 패스트캠퍼스는 개인과 조직의 실질적인 '업(業)'의 성장을 돕고자 모든 종류의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No. 1 교육 서비스 회사입니다.
www.fastcampus.co.kr
'자잘한 팁 > 영상편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월 16일 - 영상제작 정보 및 이론 - 7/8 [영상편집 인강] (0) | 2020.08.16 |
---|---|
8월 15일 - 영상제작 정보 및 이론 - 5/6 [영상편집 인강] (0) | 2020.08.15 |
8월 13일 - 사랑받는 유튜브 채널 만들기 8/9 [영상편집 인강] (0) | 2020.08.13 |
8월 12일 - 사랑받는 유튜브 채널 만들기 6/7 [영상편집 인강] (0) | 2020.08.12 |
8월 11일 - 사랑받는 유튜브 채널 만들기 4/5 [영상편집 인강] (0) | 2020.08.11 |